본문 바로가기
톡톡 정보/엑셀

엑셀 초보자를 위한 기초 함수 안내!!

by NE녜NE녜 2020. 9. 9.
반응형


엑셀 초보자를 위한 기초 함수 안내!!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제작한 엑셀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사무직으로 근무하는 직장인들, 자영업자들, 학생들이 정말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엑셀 내에 존재하는 함수는 정말 다양하지만 오늘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와 응용 방법을 정말 간단하고 보기 쉽게 정리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엑셀 기초자, 초보자들은 눈 크게 뜨시고 집중해서 봐주시면 좋겠네요.


외운다기보다는 활용을 목적으로 연습도 해보시고 반복적으로 만들어 보면서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면 더욱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도 처음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엑셀을 접하게 됐는데 하다 보니 알아가는 재미도 있고 응용하는 방법에 따라 값을 도출하는 방법도 다양해서 사무직으로 근무하는 사람이나 엑셀 초보자에게 유용할 듯합니다.





1. =SUM (총값을 내는 함수)

엑셀 내 숫자를 한꺼번에 정리해서 총 값을 표현하는 함수입니다.

보통 =sum(셀:셀) 이렇게 정리가 되는데요, 예시는 아래를 보시면 됩니다.


 

A

A

1

1

1

B

1

2

3


예를 들어 A부터 C까지의 값을 계산하고 싶다면 =sum(A1:C1) 이렇게 하면 3이란 값이 나오게 됩니다.

정말 쉽죠? 또 응용을 해서 A1 값과 C3 값을 도출하고 싶다면 =Sum(A1:C3) 이렇게 하면 4라는 값이 나옵니다. 엑셀 함수 중에서 가장 기초이기 때문에 금방 금방 어렵지 않게 배우실 수 있습니다.


2. =Count (범위 내 셀 중 숫자가 입력된 내용 도출하는 함수)


Count는 엑셀에서 가장 응용을 많이 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초 함수 중 하나입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Count, Countif, Counta, Countblank, Countifs가 있습니다.


Countif (지정한 범위에서 내가 원하는 값을 추려내는 함수)

Counta (빈칸을 뺀 셀의 개수를 찾는 함수)

Countblank (빈칸만 추려내는 함수)

Countifs (여러 개의 조건을 걸어 셀의 개수를 세는 함수)


이렇게 정리를 할 수 있습니다. 조금은 복잡해 보이고 어려워 보이지만 Count 뒤에 어떤 단어가 붙는지에 따라 정의하는 내용과 결과물을 제각기 다르게 도출할 수 있고 추려낼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잘만 활용한다면 그렇게 어렵지 않게 엑셀을 손쉽게 다루면서 업무를 볼 수가 있게 됩니다.


 

 A

 1

 1

 10

 2

 1

 20

 3

 1

 30


지금은 가장 기초적인 Count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A열 2번까지에 대한 셀의 개수를 확인하려면 서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count(A1:A2) 그럼 값은 2로 나옵니다.


한번 더 응용해서 A1열부터 B3까지에 셀의 개수를 확인하고 싶다면 서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count(A1:B3) 그럼 총 6이라는 숫자가 나오겠지요. 가로, 세로로 응용이 무한대로 가능합니다.


3. =max (선택된 셀 중 가장 큰 값을 찾는 함수)


엑셀 내 셀중 선택 된 범위에서 가장 큰 값만을 찾아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함수가 바로 max라는 함수입니다. 아무리 셀이 많고 범위가 많아도 max 함수만으로 정말 편리하고 간편하게 찾아낼 수 있어 정산을 하거나 하나의 값만을 찾아내고 싶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바로 =max 함수입니다.


마찬가지로 예시를 들어 알려드리겠습니다.


 

 A

1

100 

100 

100 

100 

200 

300 

100 

300 

400 

100 

400 

500 


우선 내가 찾고자 하는 셀들을 확인합니다. 다음으로 빈칸에 아래와 같은 서식을 입력할 건데요, B1에서 C4 중 가장 큰 값은 바로 500이라는 숫자입니다. 그럼 어떻게 찾아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max(B1:C4) 이렇게 서식을 걸어주면 500이라고 표기가 될 겁니다.


응용을 해보자면 A1에서 A4까지를 범위로 잡고 찾는다면 답은 100이 나오겠죠?

또 한 번 해보자면 A1에서 B3을 범위로 설정하면 값은 300이라는 수가 나오게 됩니다.


4. =min (선택된 셀 중 가장 적은 최소값을 찾는 함수)


=max 함수의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A

1

 100

100 

100 

100

200 

300 

100

300 

400 

100

400 

500 


가장 적은 값을 찾아내는 함수인데요. 예를 들어 A2에서 C2를 범위로 설명한다면 100이란 값이 나옵니다.

=min(A2:C2)가 적용되는 함수가 되겠죠?


오늘은 엑셀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가장 활용이 많은 함수들만 정리해보았습니다.

엑셀을 사용하면서 함수라는 벽에 가로막혀 어려움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처음 이 프로그램을 마주쳤을 때 막막하고 어렵게만 느껴졌지만 하다 보니 어느 정도는 능숙하게 해낼 수 있게 됐습니다.


여러분도 제 글을 보고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으면 하는 마음에 서툴지만 공유하고자 올려봅니다.


좋은 하루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