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톡톡 정보/입시정보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RISE사업은 무엇일까? 지역 별 사업 정리!

by NE녜NE녜 2025. 3. 5.
반응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은 대학 지원의 행·재정적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 발전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체계입니다.

 

이 사업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 인재 양성, 취업 및 창업 지원, 정주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장점:

  •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 산업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지자체 주도의 지원: 지방자치단체가 대학 지원을 주도함으로써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 대학이 지역 혁신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상생 발전을 도모합니다.

단점:

  • 지자체 역량 차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력과 재정 상태에 따라 대학 지원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지역 간 격차 심화 우려: 지자체의 역량에 따라 대학 지원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어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선정된 대학 및 사업:

RISE 사업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시범지역을 운영한 후, 2025년에 전 지역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7개 시·도는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남, 전북, 충북입니다.

 

선정된 시범지역 및 추진 사업:

2025년 RISE 체계 도입을 위해 2023년 시범지역으로 다음 7개 시·도가 선정되었습니다:

 

* 시·도주요 추진 사업

경상남도 지자체가 대학 재정 지원과 규제 완화를 통해 지역 특화 산업과 대학 역량을 결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경상북도 'K-대학 대전환을 통한 아이디어 산업 활성화'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K-U시티 프로젝트(1시군-1대학-1특성화)' 등을 추진하여 지역 인재가 지역 대학에서 전문 역량을 쌓은 뒤, 지역 기업으로 취업하는 상생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부산광역시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지역 특성에 맞는 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 발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라북도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혁신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충청북도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RISE 시범지역은 시·도 단위로 선정되었으며, 개별 대학의 선정 또는 탈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각 시·도는 지역 내 대학들과 협력하여 특화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