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사업은 대학 지원의 행·재정적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이양하고, 지역 발전과 연계한 전략적 지원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을 추진하는 체계입니다.
이 사업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 인재 양성, 취업 및 창업 지원, 정주 환경 조성을 통해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장점:
-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지역별 특성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여 지역 산업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지자체 주도의 지원: 지방자치단체가 대학 지원을 주도함으로써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 대학이 지역 혁신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상생 발전을 도모합니다.
단점:
- 지자체 역량 차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력과 재정 상태에 따라 대학 지원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지역 간 격차 심화 우려: 지자체의 역량에 따라 대학 지원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어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될 우려가 있습니다.
선정된 대학 및 사업:
RISE 사업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시범지역을 운영한 후, 2025년에 전 지역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7개 시·도는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남, 전북, 충북입니다.
선정된 시범지역 및 추진 사업:
2025년 RISE 체계 도입을 위해 2023년 시범지역으로 다음 7개 시·도가 선정되었습니다:
* 시·도주요 추진 사업
경상남도 | 지자체가 대학 재정 지원과 규제 완화를 통해 지역 특화 산업과 대학 역량을 결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경상북도 | 'K-대학 대전환을 통한 아이디어 산업 활성화'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K-U시티 프로젝트(1시군-1대학-1특성화)' 등을 추진하여 지역 인재가 지역 대학에서 전문 역량을 쌓은 뒤, 지역 기업으로 취업하는 상생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대구광역시 |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
부산광역시 |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
전라남도 | 지역 특성에 맞는 대학 지원을 통해 지역 발전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전라북도 |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혁신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충청북도 |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RISE 시범지역은 시·도 단위로 선정되었으며, 개별 대학의 선정 또는 탈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각 시·도는 지역 내 대학들과 협력하여 특화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톡톡 정보 > 입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학년도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실용음악과 실기시험 꿀팁 대방출! (0) | 2025.03.06 |
---|---|
경기도 전문대학 2025학년도 입시 분석 및 인기 학과 총정리! (1) | 2025.03.05 |
2025학년도 국가장학금 신청기간 및 방법, 유의사항 총정리 (1) | 2025.03.05 |
경희대학교 2024학년도 vs 2025학년도 입시 결과 비교 및 분석 (0) | 2025.03.05 |
우송대, 한호전, 경희대 : 호텔조리전공 입결 기준 모음 (0) | 2021.05.03 |